[사설] 혁신도시 공공기관 인쇄물 80% 외지업체 계약…말로만 '상생'

  • 논설실
  • |
  • 입력 2024-08-13  |  수정 2024-08-13 07:06  |  발행일 2024-08-13 제23면

대구·경북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상당수가 지역상생을 외면하고 있다. 혁신도시는 국가 및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것이고, 이전공공기관 역시 그 취지에 부합하는 모습을 보여야 마땅하다. 국토교통부는 혁신도시를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계기로 성장 거점지역에 조성한 미래형 도시'로 정의한다. 이전 10년이 훌쩍 지난 지금 상황은 어떨까. 기관별 의지에 따라 분명한 차이가 존재하나, 전반적으로는 '겉돈다'는 표현이 정확할 정도로 지역사회와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다.

대구경북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이 정보공개를 통해 받은 인쇄물 계약 현황자료는 단적인 사례다. 지난 2년(2022~2023년)동안 대구경북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14곳의 인쇄물 계약규모는 166억5천여만원. 이 가운데 지역업체와의 계약액은 전체의 21.9% 정도인 36억4천여만원에 머물렀다. 80%에 육박하는 130억원 정도의 일감을 외지업체에 몰아 준 것이다. 영업상 비밀침해와 같은 요란한 이유를 내세우며 정보공개를 거부한 기관까지 합치면 외지업체로 빠져나간 물량은 더욱 많을 것이라는 게 조합 측의 분석이다.

기술력을 필요로 하거나 단가 차이 등과 같은 현실적 이유가 있을 수는 있다. 그러나 지역에 융화되고, 나아가 상생하려는 의지만 있다면 해결방안은 차고 넘친다. 압도적인 차이는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지역사회와 함께하려는 노력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관련업계에서는 지역업체 이용률 법제화 등을 요구하고 나설 만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중앙교육연수원처럼 90% 이상을 지역업체와 계약한 기관이 있는 것을 보면 웬만한 해명은 변명일 가능성이 크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