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삼척 구간(166.3㎞) 동해선 전철화사업이 사실상 마무리되면서 오는 12월 개통을 앞두고 있다. 이달 중 시운전을 거쳐 본격적인 운행이 시작되면 동해안 거점도시 포항은 새로운 도약을 시도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인프라를 가지게 된다. 생활 및 교통 편의는 물론, 관광과 물류뿐 아니라 생활인구 유입에 거는 기대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 개통 효과를 최대한 누리면서 존재감을 드러내려면 무엇보다 연계 교통망 확충이나 관광상품 개발 등과 같은 포항시의 치밀하고도 구체적인 준비가 뒷받침돼야 가능하다.
2016년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되면서 시작된 이 사업이 완료되면 부산~강릉 구간 중 단선 비전철 구간이 없어지면서 보다 쾌적하고 빠른 동해안 이동과 여행의 조건을 갖추게 된다. 최고시속 150㎞로 달리는 ITX-마음(급행)과 누리로(완행)가 투입될 예정이며, 시간과 목적에 적합한 열차를 선택하면 된다. 포항은 물론, 영덕·후포·울진·죽변 등 경북도 해안선을 따라 역이 설치되는 만큼, 관광객 유입 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관문 역할도 기대된다.
맑고 푸른 동해안을 따라 운행되는 열차는 그 자체만으로 매력적인 관광상품이 된다. 포항이 동해선 관광의 베이스캠프 기능을 수행하려면 입체적인 사고와 한발 앞선 대응이 시급하다. 특히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포항역의 주차난을 하루빨리 해소하지 않으면 개통 효과는커녕 좋지 않은 이미지로 박제될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철강과 2차전지의 메카 포항이 경북 동해안의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산업과 관광의 적당한 밸런스가 요구된다. 생활인구의 유입 역시 도시 역동성 차원에서 갈수록 중요하고 의미 있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2016년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되면서 시작된 이 사업이 완료되면 부산~강릉 구간 중 단선 비전철 구간이 없어지면서 보다 쾌적하고 빠른 동해안 이동과 여행의 조건을 갖추게 된다. 최고시속 150㎞로 달리는 ITX-마음(급행)과 누리로(완행)가 투입될 예정이며, 시간과 목적에 적합한 열차를 선택하면 된다. 포항은 물론, 영덕·후포·울진·죽변 등 경북도 해안선을 따라 역이 설치되는 만큼, 관광객 유입 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관문 역할도 기대된다.
맑고 푸른 동해안을 따라 운행되는 열차는 그 자체만으로 매력적인 관광상품이 된다. 포항이 동해선 관광의 베이스캠프 기능을 수행하려면 입체적인 사고와 한발 앞선 대응이 시급하다. 특히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포항역의 주차난을 하루빨리 해소하지 않으면 개통 효과는커녕 좋지 않은 이미지로 박제될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철강과 2차전지의 메카 포항이 경북 동해안의 중심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산업과 관광의 적당한 밸런스가 요구된다. 생활인구의 유입 역시 도시 역동성 차원에서 갈수록 중요하고 의미 있게 여겨지기 때문이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