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저출생 못지 않게 고령화가 심각하다. 2000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가 돼 고령화사회 문턱을 넘어선 이후 불과 35년 만인 내년엔 20%가 넘어 초고령사회가 될 것이 확실시 된다.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빠른 속도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에 대한 대비가 전혀 안돼 있다. 지금도 OECD 국가 중 최악 수준인 노인빈곤율이 악화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올해 65세 이상 취업자 수가 청년층을 추월한 것에서도 노인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최근 들어 한국의 초고령화에 대한 경고가 쏟아지고 있다. 22일 통계청이 내놓은 장래가구추계는 다소 충격적이다. 2052년에는 65세 이상 가구주가 1천178만8천 가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전체 가구의 절반 수준이다. 이 중에서 20%는 80세 이상 가구주다. 반면 30대 이하 청년 가구주 비율은 현재 23.0%에서 11.8%로 줄어든다. 30년도 안돼 노인 가구가 청년 가구보다 무려 5배나 많아진다. 급증하는 노인 가구는 초고령사회의 한 단면일 뿐이다. 가장 큰 문제는 노인 빈곤 문제다. 특히 1950년 이전 출생 세대는 빈곤율이 무려 50%에 달한다. 경제성장과 연금제도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한 탓이다. 그보다 정도는 덜하지만 1950년 이후 태어난 베이비 붐 세대 역시 노후가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우리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초고령사회가 다가오고 있다. 대비하지 않으면 국가적 재앙이 될 것이다. 고령층과 청년층 상생을 위한 대안 마련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정년 연장, 재고용을 통한 고령자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 복지와 연금 제도 개혁도 중요하다. 우리 현실에 맞는 초고령사회 모델이 필요하다.
최근 들어 한국의 초고령화에 대한 경고가 쏟아지고 있다. 22일 통계청이 내놓은 장래가구추계는 다소 충격적이다. 2052년에는 65세 이상 가구주가 1천178만8천 가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전체 가구의 절반 수준이다. 이 중에서 20%는 80세 이상 가구주다. 반면 30대 이하 청년 가구주 비율은 현재 23.0%에서 11.8%로 줄어든다. 30년도 안돼 노인 가구가 청년 가구보다 무려 5배나 많아진다. 급증하는 노인 가구는 초고령사회의 한 단면일 뿐이다. 가장 큰 문제는 노인 빈곤 문제다. 특히 1950년 이전 출생 세대는 빈곤율이 무려 50%에 달한다. 경제성장과 연금제도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한 탓이다. 그보다 정도는 덜하지만 1950년 이후 태어난 베이비 붐 세대 역시 노후가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우리가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초고령사회가 다가오고 있다. 대비하지 않으면 국가적 재앙이 될 것이다. 고령층과 청년층 상생을 위한 대안 마련이 요구된다. 무엇보다 정년 연장, 재고용을 통한 고령자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 복지와 연금 제도 개혁도 중요하다. 우리 현실에 맞는 초고령사회 모델이 필요하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