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위기의 대구경북 공공의료원…의료 취약계층 어쩌나

  • 논설실
  • |
  • 입력 2024-09-27  |  수정 2024-09-27 07:01  |  발행일 2024-09-27 제27면

정부는 2020년에 '공공의료체계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의료취약지역의 필수의료 역량 강화를 목표로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등 공공병원 시설을 확충하고 공공보건의료 전문인력을 늘리는 게 골자다. 하지만 4년이 흐른 지금 전국 공공병원들의 운영 여건은 되레 악화됐다. 무엇보다 인력난이 문제다. 대구경북 공공의료원 역시 의사와 간호사가 부족해 상당수 진료과가 휴진된 상태다. 지역 주민들의 공공의료 접근성 저하를 우려할 수밖에 없다.

보건복지부 자료에서 드러난 대구경북 공공의료원의 인력난과 진료 공백 실태는 심각하다. 지난해 12월 기준, 대구의료원에 근무 중인 의사는 47명으로 정원(65명)에 비해 18명이나 부족하다. 간호사도 정원(300명)보다 41명 모자란다. 이로 인해 직업환경의학과, 재활의학과가 문을 닫았다. 경북 벽지의 울진의료원 사정은 더 나쁘다. 의사 정원은 28명인데, 실제 근무는 23명에 그쳐 신경과 등 5개 과 진료가 중단된 상태다. 포항의료원, 안동의료원도 의사 부족 탓에 진료에 차질을 빚고 있다.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전공의 이탈 등 장기화되는 의료사태로 공공의료 인력 수급이 악화될 수 있어서다.

공공의료원은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지키는 최후 보루다.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 등 의료 취약계층에게는 생명줄이나 다름없다. 코로나19 사태에서도 입증됐듯, 대규모 감염병 유행 시 공공의료원의 역할은 절대적이다. 정부의 필수의료 강화 정책이 공염불이 되지 않으려면 지방의료원부터 되살려야 한다. 더 이상 언 발에 오줌누기식 미봉책은 안 된다. 지방의료 공백을 메우는 근본 방안이 필요하다. 지역의료가 붕괴되면 지방소멸을 막을 방법이 없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