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가 최근 시·도민을 대상으로 '대구경북 통합 찬반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구시민의 68.5%, 경북도민의 62.8%가 찬성 의견을 보였다고 2일 밝혔다.
대구시에 따르면, 해당 여론조사는 대구시민 1천 명, 경북도민 1천 명 등 총 2천 명을 대상으로 지난 달 27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됐다.
여론조사 결과, 대구시민의 경우 코리아리서치 조사에서 통합 찬성 의견이 68.5%, 한국리서치 조사에서 통합 찬성 의견이 62.8%로 나타났다. 반대 의견은 각각 31.5%, 37.2%였다.
경북도민의 경우 통합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62.8%, 반대 37.2%로 조사됐다.
구·군별 결과를 보면 9개 구·군 모두 찬성 의견이 반대 의견보다 높았으며, 서구(86.0%), 동구(73.1%), 남구(71.9%)는 70% 이상의 찬성률을 보였다. 이어 중구(69.6%), 달서구(66.8%), 북구(66.3%), 수성구(64.7%), 달성군(63.4%), 군위군(54.5%) 순으로 찬성 의견이 높았다.
경북도 권역별 결과를 살펴보면, 경북 서부는 70.7%, 남부는 69.3%, 동부는 64.5%가 통합에 찬성했다. 다만, 북부권은 찬성 42.6%, 반대 57.4%로 반대의견이 더 높게 나타났다.
대구시는 이번 조사에서 경북도 22개 시·군 중 북부권인 안동, 영주, 예천 3개 지역을 제외한 19개 시·군에서 통합을 원한다는 의견이 더 높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인구 20만 이상인 구미(71.3%)와 경주(70.9%)는 찬성률이 70% 이상이었고, 포항(60.2%), 경산(67.4%) 또한 찬성률이 6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 통합에 찬성하는 이유에 대한 조사도 진행됐다.
대구시민 10명 중 6명이 △지역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61.7%)을 선택해 대구경북 통합을 통해 가장 바라는 것은 지역의 경제발전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낙후지역 균형발전(14.4%), △의료 등 복지서비스 향상(8.2%), △행정효율성 증대(8.2%) 등을 꼽았다.
경북도민 역시 과반수 이상이 △지역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50.1%)을 찬성의 가장 큰 이유로 꼽았으며, 다음으로 △낙후지역 균형발전(22.1%), △의료 등 복지서비스 향상(10.9%) 순이었다. 이는 경제성장과 동시에 대도시뿐만 아니라 농어촌 지역까지 소외되는 곳 없이 균형 잡힌 발전을 이뤄야 한다는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대구경북 통합에 반대하는 이유로 대구시민은 △경제발전 효과 미흡(30.9%), △지역 갈등에 따른 사회적 비용 증가(25.4%)를, 경북도민은 △특정 지역 중심 예산 쏠림(35.9%), △경제발전 효과 미흡(19.0%) 등을 꼽았다.
대구시는 "이번 조사를 통해 대구경북 시·도민들은 공통적으로 지역경제 성장과 균형발전에 대한 강한 염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양 시·도와 정부가 대구경북 통합을 추진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표와도 통한다는 점이 확인된 것"이라고 분석한 뒤 "연말까지 계획된 설명회 등을 통해 통합에 반대하는 시민의 의견을 더욱 세심하게 청취하는 등 통합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대구경북특별시의 경제·산업 육성과 특별시 전체의 균형발전을 위해 중앙정부의 대폭적인 권한이양과 재정 및 특례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판단 하에, 앞으로 중앙부처 협의와 국회 심사 과정에서 특별법이 원안대로 통과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번 조사는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성별, 연령별, 지역별 비례 할당 후 무작위 추출한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 포인트다.
시는 대구시의회에 '대구경북 통합에 대한 의견청취안'의 심도 있는 심의와 의결을 요청할 계획이다. 이후 경북도의회에서도 통합에 대한 의견청취안이 의결되면 국회에 특별법을 발의하여 내년 상반기까지 특별법을 제정하고, 2026년 7월 민선 9기에 대구경북특별시가 출범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번 여론조사를 통해 지역 경제성장과 균형발전을 위해 추진 중인 '대구경북 통합'에 대한 시민들의 강한 열망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시·도민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지역경제와 산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대구경북 통합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