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도내 방치된 빈집에 대한 체계적 관리와 정비에 나선다. 제주도는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실시한 실태조사를 통해 도내 빈집 1,159호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9년 조사 대비 34.4% 증가한 수치로, 지역 내 빈집 문제가 점차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조사에 따르면, 빈집은 주로 농어촌 지역에 분포해 있었으며, 특히 제주시 한경면과 한림읍, 서귀포시 대정읍 등지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별 분류에서는 안전조치 후 활용이 가능한 2등급 빈집이 전체의 73%를 차지해 가장 많은 비중을 기록했다. 반면, 위험도가 높은 3등급 빈집은 철거가 시급한 상황으로 평가됐다.
제주도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오는 2025년까지 빈집정비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우선순위는 3등급 빈집의 철거로 두고, 지역 내 안전을 확보하는 한편, 2등급 빈집의 활용 방안을 마련해 지역경제와 공동체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방치된 빈집 문제는 단순히 미관상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의 안전과 공동체 회복에도 직결된다"며 “체계적인 정비와 관리로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계획이 빈집 문제 해결을 넘어 제주 지역사회의 새로운 변화를 이끌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유정
까마기자 한유정기자입니다.영상 뉴스를 주로 제작합니다. 많은 제보 부탁드립니다.김수일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