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지털 논설위원 |
치매는 후천적으로 기억·언어·판단력 등 여러 영역의 인지 기능이 약화돼, 일상생활을 제대로 영위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돌봄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유다. 문제는, 시간이 흐를수록 돌봄에 수반되는 경제적·정서적·육체적 부담이 커진다는 데 있다. 개인이나 각 가정이 감당하기에는 벅차다는 것이 돌봄을 한 번이라도 경험한 이들의 공통된 하소연이다. 국가 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하고 간절하다는 주장과 호소가 강한 공감을 얻는 대목이다. 너무 힘들어서 '나 몰라라' 외면할 수도, 그렇다고 빛이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서 하염없이 매달리기도 난감하다. 전체 치매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은 원인 미상의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원인이 명확하지 않으니 치료의 길도 막막하고 요원하다. '더이상 나빠지지만 않아도 좋겠다' 정도가 어쩌면 현실적으로 제일 큰 바람일지도 모르겠다.
돌봄부담으로 인한 무겁고 짙은 그림자가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달 발표한 치매 역학 및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설이나 병원이 아니라 지역사회에 머무는 치매환자 10명 가운데 8명 정도가 1인 또는 부부 가구로 나타났다. 또 치매 환자 가족의 40% 이상은 부정적인 신체적·정신적·경제적 변화를 겪었고, 이 가운데서도 경제적 부담이 제일 컸다고 답했다. 그래서 이들 대부분에게 가장 절실한 대책은 경제적 부담 완화, 즉 비용 경감이었다. 돌봄비 비중(67%)이 보건의료비(25.3%)보다 월등히 많은 통계가 이를 방증한다. 더 이상 '간병지옥' '돌봄지옥'이라는 말이 확산되기 전에 정부가 선제적으로 나서서 조기 발견과 초기 집중치료가 가능하도록 대책을 내놔야 한다.
장준영 디지털 논설위원

장준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