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든 지나치면 화를 부르는 법. SNS 정치가 좋은 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SNS상에서 ‘자유롭게 쓸 권리’는 무한하다고 볼 수 있지만, ‘잊힐 권리’는 여전히 불완전하다. 즉 기록이 남는다는 것이다. 한 사람을 유명스타로도, 또 졸지에 곤혹스럽게도 만들 수 있는 게 바로 SNS의 위력이다.
평소 SNS를 통해 국가와 위정자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를 아끼지 않던 진보적 법학자인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은 한때 자신의 SNS에 쓴 글과 현 상황의 부조화로 인해 ‘이중잣대’ 논란에 휩싸여야 했다.
SNS의 또 한가지 위험한 점은 악의적으로 편집된 정보가 마치 진실인양 확대 재생산될 수 있다는 점이다. 어떤 정보·메시지든 눈 깜짝할 사이에 확산되기 때문에 해당 정보의 진위 여부가 제대로 가려지지 않은 채 확산돼 버릴 가능성이 크다. 특히 탄핵정국 속 네거티브가 난무했던 이번 대선에선 편집되고 왜곡된 정보는 SNS를 통해 거의 무한대로 확산되는 일이 잇따랐다.
익명성을 무기로 한 폭력적이고 명예훼손적 발언도 남발된다. 지난 15일 한 네티즌은 자신의 트위터에 “이 기자X 또 ○○하네. 이 XXX는… 이 XX야”라며 욕설과 심한 성희롱적 표현이 뒤섞인 글을 올렸다. 한 장관 후보자에 대한 논란을 다룬 기사와 그 기자에 대한 불만을 이렇게 표현한 것이다. 이와 비슷한 형태로 ‘문자폭탄’ ‘댓글폭탄’이 있다. 자신이 지지하는 정치인이나 정당을 비판하거나 비협조적이라는 이유로, 문자메시지나 댓글로 항의하거나 비방을 쏟아낸다.
바른정당 소속 A의원은 지난달 문 대통령의 일부 열성 지지세력을 지칭해 비판 발언을 했다가 뭇매를 맞았다. A의원은 국회에서 “문재인 팬클럽의 사이버 테러가 심각한 지경이다. 인터넷 집단 행동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며 “민주당·문 대통령 지지 세력이 민노총마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적폐세력으로 몰아붙였다. 마음에 들지 않는 이야기를 한다고 득달같이 달려들어 홍위병식으로 비판하는 것은 문제”라며 자제를 촉구했다. 그러자 그날 A의원의 페이스북에는 그와 바른정당을 비판하는 댓글 수십 개가 달렸다. 욕설 댓글도 빠지지 않았다. 최근 인사청문회에서도 문자폭탄이나 댓글폭탄은 계속됐다. 이를 ‘의사표현의 자유’로 봐야할지 ‘심각한 문제’로 봐야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백승대 영남대교수(사회학과)는 “SNS라는 매체 특성상 부작용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며 “몰입하다 보면 본능적으로 자기의사를 격하게 표현하게 되는 만큼 SNS상의 표현은 본능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 이성에 맡겨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SNS는 기록이 남기 때문에 나중에 후회하지 않으려면 사용 전 심사숙고를 해야 한다. SNS에 내가 남긴 기록에 대해선 결국 죽을 때까지 책임을 져야 한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