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7일 공개한 '학교 딥페이크 허위 영상물 피해 현황'을 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4일까지 딥페이크 피해 학생은 누적 804명, 교원은 33명, 직원 등은 3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직전 조사인 지난달 27일보다 피해자가 7명 늘었다. 학생은 5명, 교원은 2명 각각 증가했으며, 직원 피해자는 변동 없었다.
교육부는 '딥페이크' 범죄 관련 내용이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 등을 통해 유포돼 논란이 되자 17개 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 딥페이크 피해 현황을 조사해왔다.
현재까지 딥페이크 관련 피해 신고는 누적 509건이다. 고등학교가 282건, 중학교 211건, 초등학교 16건 순이다.
딥페이크 피해로 수사를 의뢰한 건수는 422건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226건, 중학교 183건, 초등학교 13건이었다.
영상물 삭제 지원을 연계한 건수는 누적 219건이다.
한편, 불특정 인물의 얼굴과 신체 사진을 합성하는 일명 '딥페이크' 사진 등이 텔레그램 단체대화방에서 공유됐다는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그 여파가 지역 교육계에도 미치고 있다.
이른바 '딥페이크 피해 대구경북 학교' 명단이 온라인 상에 게재되면서, 교육 당국과 경찰이 사실관계 파악에 나섰다. 교육 현장의 딥페이크 피해 가능성이 공론화되면서 최근 대구에서도 관련 피해 신고가 본격화됐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