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
경북대 등 대학가에서 잇따라 발생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국정감사에서도 도마 위에 올랐다. 대학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계속되는 이유를 분석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성준 의원실이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교육부에 접수된 대학 및 고등교육기관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사고 건수는 총 52건으로 파악됐다.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교육부에 신고된 대학·고등교육기관의 개인정보 유출 건수는 22건으로 집계됐다. 2022년 7건, 지난해 23건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사고가 각각 발생했다.
올해 주요 유출 사례를 보면, 지난 3월 경기대가 1만9천926명의 성명과 주민등록번호, 소득분위 관련 정보가 담긴 파일을 홈페이지에 게시했다.
홍익대는 올해에만 두 차례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냈다. 지난 4월 192명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유출 사고를 낸 홍익대는 한 달만인 5월에 착오로 학생 1만2천376명의 학번, 학위, 학적 상태 등이 포함된 파일을 메일로 발송했다.
경북대는 지난 7월 대학원생 118명에게 '대학원 조기 수료 및 졸업 안내' e메일을 발송하면서 대량의 개인정보를 유출했다. 경북대 대학원 재학생 5천905명의 개인정보(이름·소속·학번·이수학점·평점 평균 등)가 e메일로 발송된 것이다.
경북대는 학생들에게 정보 유출 사실을 알리고 공식 사과했다. 하지만, 불과 몇 해 전 잇따른 개인정보 대량 유출로 말썽을 빚었던 경북대에서 또 다시 유출 사고가 발생하자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같은 달 전북대도 대학통합정보시스템 해킹을 당해 34만5천938명의 학번과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 번호 등 74개 항목의 개인 정보 유출 사고를 냈다.
국회 교육위 소속 민주당 진선미 의원은 최근 보도자료를 내고 대학 등 교육 기관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와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진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교육 관련 기관들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 교육기관에서 유출된 개인정보는 615만 5천 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 사고로 분류되는 1천 건 이상 유출 사고가 2021년과 2022년 각 6차례였지만, 지난해에는 13차례로 2배 이상 급증했고, 올해 8월까지 이미 10차례 발생했다.
진 의원은 "교육기관에는 학생과 교원 및 학부모의 주민 번호와 같은 개인식별번호뿐만 아니라 성적이나 병원의 진료기록 같은 민감 정보들이 많이 보관·관리되고 있어, 개인정보 유출 사고는 각종 디지털 범죄에 활용되거나 사생활 및 인권 침해 소지가 크다"고 지적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