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교육청은 지난 25일 오후 대구삼성창조캠퍼스 중앙컨벤션센터에서 '검사 초청 디지털 성범죄(딥페이크) 대응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 <대구시교육청 제공> |
대구시교육청은 지난 25일 오후 대구삼성창조캠퍼스 중앙컨벤션센터에서 교장 등 240여 명을 대상으로 '검사 초청 디지털 성범죄(딥페이크) 대응 역량 강화 연수'를 실시했다.
일선 고등학교 교장 및 생활교육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수는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디지털 성범죄 예방과 사안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생활교육 전문성 강화를 위해 기획됐다.
앞서 지난 달 대구지방검찰청과 대구경찰청, 대구시교육청은 수사실무협의회를 개최해 △핫라인 구축 △불법영상물 삭제 및 피해자 지원 △공동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하며, 디지털 성범죄 예방과 대응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연수에서는 대구지방검찰청 김영신 수석검사가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 성범죄 발생 실태 및 예방'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다.
특강 주요 내용은 △디지털 성범죄의 의미와 특성 △디지털 성범죄 증가 및 문제점 △디지털 성범죄 유형과 사례 △디지털 성범죄 피해 대응 및 예방 등이다.
특강 이후에는 시교육청 교육국장을 비롯한 생활인성교육 담당 실무진, 연수에 참여한 학교장 등이 디지털 성범죄 전반에 대한 현안 사항을 논의하고, 검찰청-교육청 간 지속적 협력 방안 모색의 시간을 가졌다.
강은희 대구시교육감은"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을 위한 예방과 사안처리, 회복지원의 3-STEP을 구현해 사이버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불특정 인물의 얼굴과 신체 사진을 합성하는 일명 '딥페이크' 사진 등이 텔레그램 단체대화방에서 공유됐다는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그 여파가 지역 교육계에도 미치고 있다.
이른바 '딥페이크 피해 대구경북 학교' 명단이 온라인 상에 게재되면서, 교육 당국과 경찰이 사실관계 파악에 나섰다.
지난 17일 경북대에서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대구경북 교육현장의 딥페이크 범죄 피해 현황이 공개됐다.
국회 교육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문정복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2022년부터 올해 8월까지 대구에서는 8건, 경북은 11건의 학교 딥페이크 관련 신고가 접수됐다.
대구지역 가해자 규모는 9명이며, 피해자 규모는 16명으로 집계됐다. 경북지역 가해자 규모는 21명, 피해자 규모는 45명으로 파악됐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