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주, 국민참여 경선은 '어대명 선택' 수순 아닌가

  • 논설실
  • |
  • 입력 2025-04-14  |  수정 2025-04-14 07:11  |  발행일 2025-04-14 제23면
민주당이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룰을 '국민참여 경선'으로 바꾼다. 지난 19·20대 대선에 적용했던 당원과 국민 모두에게 1인 1표를 보장한 '완전 국민 경선'을 배제하고, 권리당원 투표 50%와 국민 여론조사 50%로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이 방식은 권리당원의 뭉치표에 후보 결정이 좌우될 것으로 보여, 이재명 예비후보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구도다. 이를 의식한 탓인지 당 지도부는 당원 중심 정당과 역선택 방지, 짧은 경선 기간 등의 명분을 장황하게 댄다.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은 이 방식을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재명) 추대 경선'이라고 반발한다. 경쟁 구도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그동안 비명계는 당원과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는 완전 국민 경선 방식을 요구해왔다. 그럼에도 친명계가 국민참여 방식을 강행한 것은 이 후보의 압도적 승리를 위해 제도적으로 불확실성을 없애려는 포석이다. 앞서 20대 대선 경선 당시, 이 후보는 3차 국민선거인단 투표에서 이낙연 후보에게 역전을 허용하며 큰 위기를 맞은 바 있다.

친명계의 이번 결정은 21대 대선 후보 선출을 사실상 형식적인 절차로 전락시키는 무리수라는 지적이다. 또 이번 경선의 공정성과 포용성을 담보할 수 없게 되면서, '국민 속 정당'이란 정체성마저 거스르게 됐다는 비판도 설득력 있어 보인다. 사실 이 후보는 국민 경선의 최대 수혜자이다. 2017년 경선 당시, 무명의 성남시장에서 단숨에 대선 후보 반열에 오른 것도 국민 경선 덕분이었다. 이런 그가 경선의 구도를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만든 행위는 민주주의 룰을 망가뜨리고, 어떻게 되든 기회만 잡으면 된다고 보는 무책임한 태도와 다름없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