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독도 파노라마 (3)] 조선 조정의 수토 정책(상)

  • 정용태
  • |
  • 입력 2021-07-26 08:21  |  수정 2021-07-29 14:34  |  발행일 2021-07-26 제24면
17세기말 울릉도서 어로 활동하던 조선 어부와 상인 일본이 납치한 사건 이후 수토관 정착
2~3년마다 정기적으로 파견...울릉도·독도 관리·지원 정책...2017년 수토역사전시관 개관

수토선
울릉 수토역사전시관 앞 정원에 옛 모습을 복원해 전시한 수토선

울릉도·독도는 우리나라 최동단에 위치하며 역사적·지리적·국제법상 우리의 영토로서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천혜의 화산섬이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울릉도·독도를 과거 조정에서는 어떤 정책으로 지켜왔는가를 생각하면서 그 수단의 하나인 수토정책(搜討政策)에 대해 2회에 걸쳐 알아보기로 한다. 

2021072201000720700028662
2017년 12월 울릉군 서면 태하리에 문을 연 울릉 수토역사전시관 전경


울릉도·독도를 관리하기 위한 정책의 이름으로 수토정책의 수토란 "무엇을 조사하고 찾아서 토벌한다"라는 사전적 의미가 있지만, 그 정책은 울릉도·독도를 전체적으로 관리·지원하는 넓은 의미의 국가 정책이며 내국인과 외국인을 막론하고 떠돌아다니거나 도망간 사람을 데리고 돌아와 섬을 비우는 쇄환정책(刷還政策)에 비해 적극적인 관리정책이라 할 수 있다.

고려 시대 현종 9년(1018∼1022) 때 고려의 관리들이 우산국에 입도해 농기구를 지원한 기록이 있으며 그 후 조선조 초기부터 1882년 울릉도 개척령이 내려진 이후까지도 수토정책은 지속해왔다. 이러한 수토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국가에서 파견하는 관리들을 수토사 또는 수토관이라 부른다.

2021072201000720700028663
울릉 수토역사전시관 정원에 있는 조선시대 울릉도 수토사 38명의 명단이 적힌 비석

고려 시대에는 감창사·안무사·작목사 등으로 불렀고 조선 시대에는 안무사·심찰사·경차관·순심경차관·수토군관 등으로 부르다가 17세기 말 울릉도에서 어로 활동을 하던 조선의 어부와 상인을 일본이 납치하는 '울릉도쟁계(鬱陵島爭界)'를 겪은 이후 수토관으로 정착했다. 수토군관 혹은 수토군은 울릉도 이외의 지역에도 있었지만, 수토정책이 실시되면서 울릉도에 정기적으로 파견된 군관을 수토관으로 불렀다. 수토관은 삼척진의 영장과 월송포의 만호가 교대로 맡았는데 영장과 만호는 관리의 직책 명칭이다.

고려 인종 19년(1141) 명주도·감창사·이양실이 파견돼 울릉도의 과일과 나뭇잎을 채취해 조정에 바쳤다. 고려 의종 11년(1157)에는 명주도·감창사·김유립이 파견되어 울릉도에 주민을 이주시킬 계획으로 조사했으나 암석이 너무 많아 주민이 살 수 없다고 보고했다. 고종 40년(1253) 이승휴가 몽골의 침입을 막기 위해 강원도 삼척 요전산성을 수비하던 중 울릉도를 관망했다는 기록도 있다. 울릉도는 고려 말 왜구 때문에 무인도가 되었으나 조선 초 이래 조정의 쇄환정책(刷還政策)에도 불구하고 육지의 백성들이 계속 건너가 살았다.

2021072201000720700028664

경북 울릉군 서면 태하리에 2017년 12월 문을 연 수토역사전시관에는 조선 시대에 파견된 총 38명의 수토사 명단 비가 세워져 있으며 풍랑에 순직한 수토사 추모비도 함께 세워져 있다.

조선 시대 수토관은 경북 울진에 있는 관청에서 대기하다 맑은 날씨가 되면 울릉도를 향해 출발했고 타고 가는 배는 판옥선 형태로 추정하고 있으며 대략 30∼40여 명이 탈 수 있었다. 수토정책 실시 초기에는 2년 간격으로 3년에 한 번, 그 후로는 2년에 한 번으로 바뀌었고 수토관 파견에는 군관·수행원·역관이 동행했으며 적을 때는 80여 명, 많을 때는 150여 명의 규모로 파견됐다. 


임만주<울릉군 문화관광해설사>
정용태기자 jyt@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정용태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