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과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지난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키르기즈 정상회담에 앞서 대화하고 있다.연합뉴스.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정상 간 통화 일정이 아직도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12·3 비상계엄이 초래한 사상 초유의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체제로 인해 한미 정상 외교에 적신호가 켜졌다. 10일 관가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3주가 지났음에도 양국 정상 간 통화 일정을 여전히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측의 적극적인 요청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대통령 측이 유보적 자세를 취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트럼프 정부 1기 출범 당시 미국 현지에서 근무했던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10일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일정이 너무 빡빡한 데다 일단 한국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뼛속까지 비즈니스맨인 트럼프와 지금 통화해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도 없고, 우리가 해줄 수 있는 말도 없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체제에서 우리 정부가 어떤 책임 있는 발언을 할 수 있겠나. 통화가 성사된다고 해도 인사말 정도에 그칠 뿐 그 이상의 발언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로 인해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여, 미·중 무역전쟁 격화 등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한국이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기에다 이번 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릴 예정이던 조태열 외교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간 양자 회담마저 불투명해졌다. 미국이 내놓을 동아시아 안보 구도에서도 한국이 소외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 7일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발언을 이끌어 내는가 하면, 타국 정상들도 속속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외교에 박차를 가하는 등 잰걸음에 나선 것과 대비되면서 한국의 외교 소외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권한대행 체제일지라도 외교·국방·산업 등 각 채널을 통해 한미 외교가 정상 가동되도록 해야 한다"면서도 "민주당이 미국통인 한덕수 총리를 탄핵시킨 것이 가장 뼈아프다. 한미 외교 정상화를 위해선 현재의 정치 혼란을 하루 빨리 끝내야 한다"고 언급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