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실 제공> |
저출생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올해 전국에 폐교 예정인 초·중·고교가 총 49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북지역은 올해 42곳의 초등학교가 입학생을 받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폐교 현황'자료를 보면 올해 폐교 예정인 초·중·고교는 49곳이다. 전년(33곳)보다 16곳(48.5%)이나 늘었다.
최근 5년간 추이를 보면 2020년엔 폐교가 33곳이었다. 이어 2021년 24곳, 2022년 25곳, 2023년 22곳으로 잠시 주춤하다가 지난해 33곳으로 다시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전남(10곳)이 가장 많았다. 이어 충남(9곳), 전북(8곳), 강원(7곳) 순이었다. 대구는 1곳이었다.
학급별로는 49곳 중 38곳이 초등학교(77.5%)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중학교는 8곳, 고교는 3곳이다.
휴교나 폐교를 제외한 지난해 입학생이 없었던 초등학교는 전국에 112곳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진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지난해 4월 기준 '신입생 없는 초등학교 현황' 자료를 보면 전북이 34곳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경북 17곳, 경남 16곳 등 순이었다.
이달 각 시·도 교육청이 취합한 현황을 보면 경북에만 42개 초등학교에서 입학생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예상된다. 경북을 비롯해 전남(32곳), 전북 (25곳),경남 (26곳) 등 올해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입학생이 없는 초등학교가 다수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김종윤기자 bell08@yeongnam.com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