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이 본사 일부 부서를 사무공간 확장에 따라 경주시 문무대왕면에서 도심권으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경주시가 26일 문무대왕면 주민들과 간담회를 열어 주민 의견 수렴에 나서기로 해 관심이 집중된다.
한수원은 최근 체코를 비롯한 해외 원전 수출 인력 등 본사 상주 인력이 증가하면서 사무공간이 부족해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효현동 옛 경주대학교 부지 매입을 통한 일부 부서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해당 부지는 약 8만6천 평(약 28만4천㎡) 규모로, 이 중 43%는 문화재 보호구역 및 녹지공간에 해당해 실사용 면적은 약 4만 평 안팎으로 추정된다.
이전 대상 부서로는 지난해 충북 오송역 인근 이전 논란의 중심이었던 수출사업본부를 포함해 약 400명 이상의 인력이 거론된다.
한수원은 "사무공간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부지 확보는 불가피하지만, 지역 주민 의견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겠다"며 "주민과의 충분한 소통과 협의를 통해 상생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지난 4일 공식 입장을 밝혔다.
24일 경주시 원자력정책과 관계자는 "이번 계획은 본사 전체 이전이 아니라, 정원이 약 500명 늘어난 데 따른 부지 추가 확보"라고 설명하면서도 "동경주 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되는 만큼, 충분한 소통 없이 추진하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김상희 문무대왕면 발전협의회장은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주민과 합의 없는 부서 이전은 절대 있을 수 없다"며 "찬반에 대한 입장보다는 우선 경주시와의 소통간담회에서 충분히 얘기를 들어보고 주민들 간 논의해보는 자리가 마련될 것"이라고 했다.
장성재기자 blowpaper@yeongnam.com
한수원은 최근 체코를 비롯한 해외 원전 수출 인력 등 본사 상주 인력이 증가하면서 사무공간이 부족해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효현동 옛 경주대학교 부지 매입을 통한 일부 부서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해당 부지는 약 8만6천 평(약 28만4천㎡) 규모로, 이 중 43%는 문화재 보호구역 및 녹지공간에 해당해 실사용 면적은 약 4만 평 안팎으로 추정된다.
이전 대상 부서로는 지난해 충북 오송역 인근 이전 논란의 중심이었던 수출사업본부를 포함해 약 400명 이상의 인력이 거론된다.
한수원은 "사무공간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부지 확보는 불가피하지만, 지역 주민 의견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겠다"며 "주민과의 충분한 소통과 협의를 통해 상생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지난 4일 공식 입장을 밝혔다.
24일 경주시 원자력정책과 관계자는 "이번 계획은 본사 전체 이전이 아니라, 정원이 약 500명 늘어난 데 따른 부지 추가 확보"라고 설명하면서도 "동경주 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되는 만큼, 충분한 소통 없이 추진하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김상희 문무대왕면 발전협의회장은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주민과 합의 없는 부서 이전은 절대 있을 수 없다"며 "찬반에 대한 입장보다는 우선 경주시와의 소통간담회에서 충분히 얘기를 들어보고 주민들 간 논의해보는 자리가 마련될 것"이라고 했다.
장성재기자 blowpaper@yeongnam.com

장성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