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환경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참가자들은 자연성 회복을 촉구하며 무표기 피켓과 배너를 들고 있으며, 배경에는 국회의사당의 둥근 돔이 뚜렷하게 보인다. 이들은 4대강 보 처리와 수문 개방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환경 정책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현장에는 다수의 취재진이 카메라를 들고 모여 있으며, 참가자들은 진지하고 결연한 표정으로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맑은 하늘 아래 펼쳐진 이 장면은 기후 위기 시대에 생태 복원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영남일보 AI 제작>
대구경북 지역 환경단체들이 차기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4대강의 자연성 회복을 정당 공약에 반영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특히 이들은 이번 대선이 “4대강 재자연화 정책을 되살릴 마지막 기회"라며 정면 돌파를 주문했다.
낙동강네트워크, 금강낙동강영산강보철거시민행동 등 4대강 관련 전국 연대체들은 18일 국회 앞 기자회견에서 “윤석열 정부는 국가물관리계획에서 '자연성 회복'이라는 원칙을 삭제하고, 4대강 보 처리와 수문 개방을 사실상 폐기했다"며 “이는 생태 복원을 향한 사회적 합의를 정면으로 뒤엎은 퇴행적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국가물관리위원회라는 명칭만 남기고, 실질적 역할은 포기했다"며 “댐 건설과 하천 준설을 되풀이하는 개발 중심 물 정책은 기후 위기 시대에 역행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환경단체들은 이번 대선을 '4대강 재자연화'의 명운이 걸린 전환점으로 규정했다.
단체는 “윤 전 대통령은 국민의 탄핵으로 물러난 인물"이라며 “이런 정권의 환경 정책 기조가 다시 반복되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차기 정부가 △4대강 수문 상시 개방 △보 처리 재개 △자연성 회복 재명문화 등을 핵심 공약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관계자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 것은 정부의 기본 책무"라며 “물은 생명이다. 생태를 되살리지 못하면, 결국 사람이 위태로워진다"고 말했다.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