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구미·포항 '대구포' 첨단 신산업 특화단지 품에 안았다

  • 최수경
  • |
  • 입력 2023-07-21  |  수정 2023-07-20 18:53  |  발행일 2023-07-21 제1면
대구, 전기車 모터 소부장…구미, 반도체 원료 공급기지

포항은 2차전지 양극재 생산거점으로 우뚝

2030년까지 총 민간투자 17조
대구·구미·포항 대구포 첨단 신산업 특화단지 품에 안았다
국가첨단전략산업 및 소부장 특화단지 지형도 .국무조정실 제공
대구·구미·포항 대구포 첨단 신산업 특화단지 품에 안았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현황.

대구(전기차 모터 소재·부품·장비), 구미(반도체), 포항(2차전지) 이른바 '대구포'가 동시에 첨단 산업분야 특화단지를 품에 안았다. 한꺼번에 '트리플 크라운' 쓰게 되면서 정부 계획대로라면 대구경북 특화단지에는 오는 2030년까지 총 17조 8천억원 규모의 민간투자(총 17조 8천억)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신산업 중흥기를 맞게 되는 셈이다. 이들 특화 업종은 국가전략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데다, 지리적 인접성·기술활용성 측면에서 3개 도시간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국내 첨단산업 비주류에서 글로벌 초격차 기술경쟁을 다투는 주류 산업도시로 등극하게 됐다는 의미도 크다.

정부는 20일 제3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 및 소부장 경쟁력 강화위원회를 잇따라 열고 특화단지 12곳(첨단전략산업 7곳, 소부장 5곳)을 최종 선정했다.

 

대구·구미·포항 대구포 첨단 신산업 특화단지 품에 안았다
세계 양극재 생산 1위 기업인 에코프로가 들어선 포항시 북구 영일만산업단지 내 에코프로 포항캠퍼스 전경.<포항시 제공>.

첨단전략산업에서 구미는 반도체 특화단지(원재료 공급기지)로, 포항은 2차전지(양극재 생산)특화단지로 각각 지정됐다. 용인·평택(반도체), 청주(2차전지-셀), 새만금(2차전지-광물가공 및 재활용), 울산(2차전지-셀 ), 천안·아산(디스플레이)도 특화단지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2042년까지 약 614조원의 민간투자가 이뤄지도록 설계됐다.


SK실트론·LG이노텍 등 대기업이 포진한 구미는 반도체 공정 핵심 원재료인 웨이퍼와 기판 공급기지로 특화된다. 대규모 생산라인을 확보해 반도체의 안정적 공급망을 책임진다. 2026년까지 300㎜(12인치) 웨이퍼 시장분야 세계 2위 도약을 목표로 내걸었다. 2026년까지 4조 7천억원의 민간투자가 진행된다. 수도권(용인, 평택)에 완성품 메모리칩을 지원하고 협력하는 전략을 짠 것이 비수도권에서 유일하게 반도체 특화단지로 지정된 결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특성화대학인 경북대가 우수인력 양성을 통해 측면 지원한다.

포항은 제2의 반도체로 일컬어지는 배터리의 핵심소재인 양극재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진행한다. 국내 최대규모의 2차전지 양극재 생산거점(연간 70만t)으로 육성된다. 주행거리와 안정성을 동시에 높힐 수 있는 하이니켈 양극재 생산을 책임진다.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 등 대기업들이 2027년까지 12조1천억원을 투자하게 된다. 정부는 이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에 인허가 신속처리, 킬러규제 혁파, 세제 및 예산, 용적률 완화, 전력·용수 등 기반시설에 대해 맞춤형 패키지 형대로 신속하게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지자체와 민간 전문가 등이 포함된 범부처 협의체를 꾸려 올 하반기에 특화단지별 세부육성계획을 수립한다.

대구는 이번에 전기차 모터 소·부·장 특화단지로 선정됐다. 광주(자율차 )·부산(전력 반도체)·오송(바이오 원·부자재)·안성(반도체 장비)도 함께 소부장 특화단지로 지정됐다.


대구는 전기차 부품기업이 집적된 대구국가산단, 테크노폴리스, 달성 1·2차 산단 등 4개 산단을 특화단지로 지정해 운영한다. 전기차 모터 핵심부품을 생산하는 성림첨단산업(희토류 영구자석), 유림테크(가공), 경창산업(모터), 코아오토모티브(부품)이래AMS(모듈), 대동모빌리티(완성차), 보그워너 (모터)등 중견 기업 7개사(1조원)를 앵커기업으로 지정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첨단전략특화단지는 세계적으로 압도적인 제조역량을 갖춘 글로벌 혁신클러스터로 조기 도약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고, 소부장특화단지는 국토균형발전과 핵심소재 공급망 안정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수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