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시대의 그늘] (하) 충전 인프라 확충으로 운행제약 해소, 화재 원인 배터리 안전 문제 개선 시급

  • 정우태
  • |
  • 입력 2022-08-15 09:34  |  수정 2022-08-16 07:30  |  발행일 2022-08-16 제19면
2022081401000408500016201
2022081401000408500016202
2022081401000408500016203

인프라 부족과 안전에 대한 불안감은 친환경차 보급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업 딜로이트가 발표한 '2022 글로벌 자동차 소비자 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 소비자들은 전기차에 대한 가장 큰 우려사항으로 '공공인프라'(26%)와 '배터리 기술 안전 우려'(19%)를 각각 1·2위로 꼽았다.

낮은 연료비,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개선 등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은 높아졌지만 충전 인프라, 안전 문제가 친환경차에 대한 적극적 구매를 망설이게 하는 주된 요인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 인프라 확충으로 운행 제약 없애야

친환경차 운전자 대다수는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큰 불편을 겪는다. 특히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최대 주행거리가 짧은 전기차의 경우 인프라 부족은 운행 제약으로 이어지는 만큼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전기차 충전 어플 운영사 '소프트베리'가 이용자 1천8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2%가 전기차 충전 시설 정책에 '불만족'을 표했다. 시급하게 개선돼야 할 전기차 충전시설 정책에 대해선 '전기차 충전기 시설 보급 확대'(40%)을 첫 손가락에 꼽았다.

충전 시간도 단점이다. 통상 전기차는 배터리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80%까지 배터리를 충전한 뒤 전류량을 줄인다.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기준에 '급속 충전기'를 이용하면 완전방전 상태에서 배터리 용량 80%까지 충전을 하는 데 30분 가량이 소요된다. 하지만 '완속 충전기'는 6시간 가량 걸리고, 휴대용 충전기는 10시간 이상 충전이 필요하다.

충전 속도가 빠른 급속 충전기는 공공기관, 고속도로 휴게소에 주로 설치되는 탓에 보급 대수가 제한된다. 완속 충전기는 주택, 아파트 등을 중심으로 보급되고 있지만 충전 시간이 길어 이용에 불편을 겪는 사례가 적잖다.

대구시·대구환경공단이 운영하는 '대구 전기차 충전소' 시스템에 따르면 현재 대구지역 공공기관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는 총 286대(급속 154대·완속 132대)이다. 현재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등록된 대구지역 전기차 충전소는 7천813개소이다.

대구시 미래모빌리티과 관계자는 "2020년 이후 전기차 충전소 신규 설치는 민간에서 주도하고 있다. 정부·지자체는 늘어나는 전기차 수요에 맞춰 인프라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치명적인 전기차 화재, 원인은 '배터리'

최근 전기차 화재 사고가 잇따르면서 안전에 대한 우려는 커지고 있다. 화재 발생 빈도가 높은 것은 아니지만, 사고가 났을 때 발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고 연쇄적 폭발로 이어지는 등 위험성이 높기때문이다.

지난 6월4일 남해고속도로 서부산 요금소에서 전기차 화재 사고가 났다. 추돌 직후 차체가 불길에 휩싸였고 안타깝게도 운전자와 동승자가 모두 목숨을 잃었다. 불길이 빠르게 번져 대피가 불가능했다. 이달 8일에는 제주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차에 불이 나 차량이 전소됐다.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완전 진화에는 4시간이 소요됐다.

대구지역의 경우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집계된 전기차 화재는 총 5건이다. 이 가운데 4건은 충전 중에 불이 났고 나머지 1건은 주행 중에 화재가 발생했다.

이같은 화재 사고들의 주된 원인으로는 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가 지목됐다. 국립소방연구원은 '인접한 전기차의 화재 성상에 관한 실험 연구' 보고서를 통해 "기존 내연기관과 다른 구조의 특정 배터리 열화(리튬 배터리 총량이 줄어드는 현상)는 연소·폭발로 인한 열폭주 현상의 위험성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보고서는 "고전압 배터리 사용으로 사고 발생 시 감전, 폭발 및 내부 전해액 누출로 소방대원 2차 피해 가능성이 상존한다. 차량별로 배터리 모양·크기·장착 위치·긴급차단 스위치 등의 위치가 달라 신속한 전원 차단 조치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화재 사고 예방을 위해 주기적인 배터리 점검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자동차검사소에서 시행하는 정기 검사에서 배터리 성능 및 안전 진단 서비스를 시행키로 했다.

한세경 경북대(전기공학과) 교수는 "전기차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배터리 용량이 커지면서 셀(Cell·배터리를 구성하는 작은 단위)이 통상 200개 정도 들어간다. 셀 하나는 작은 부분일 수 있지만 이상이 생기면 배터리 전체 결함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배터리 상태를 면밀하게 진단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을 연동해서 개별진단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안할 수 있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정우태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