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알바 3분의 1이 근로기준법 위반 경험" 대구 청년노동 실태조사 발표
지역 노동단체와 청년단체가 대구 청년들의 취약한 노동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일 오전 10시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와 한국 비정규교수 노동조합 경북대분회, 경북대 학생단체 '오버 더 블랭크'는 경북대 글로벌프라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학생·청년 노동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지난달 13~24일까지 청년 19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 결과, 응답자 3명 중 1명 이상(35.9%·70명)이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근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의 15.3%(30명)은 최저임금을 받지 못했다.특히, 편의점 등 소매업에서 일한 청년들의 여건이 열악했다. 편의점에서 근무한 청년의 43.2%는 근로계약서 미작성, 32%는 최저임금 미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인찬 노무사는 "하루 10시간씩 주 5일 야간 아르바이트를 해도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시급과 주휴수당 미지급으로 월 72만 원을 떼이고, 주말 시간에도 일했으나 주휴수당을 지급 받지 못하고, 주 14시간씩 2개월을 일했으나 하루아침에 문자로 해고 당하는 등 다양한 위험에 대구 청년들이 노출돼 있었다"고 그간 청년들과 무료 상담을 진행하며 수집한 사례들을 설명했다.김상천 오버 더 블랭크 공동대표는 "대구경북지역의 노동 실태가 전국에서 가장 좋지 못하다고 하는데, 그간 아르바이트를 하며 그 말이 사실이라는 것을 체감했다. 특히, 대구경북은 아르바이트 노동 여건도 안 좋은데 정규 일자리 상황도 좋지 않다. 그러니 대구 청년들이 여건이 나은 서울로 떠나게 된다. 아르바이트 여건, 정규 일자리 여건이 모두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한편, 이들 단체는 대구지방노동청을 방문해 편의점 등 소매업에 대한 노동 근로 감독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글·사진=박영민기자 ympark@yeongnam.com5일 오전 10시 경북대 글로벌플라자 앞에서 지역 노동단체와, 경북대 학생단체 등이 대학생·청년 노동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