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반도체 경쟁은 '산업 전쟁'"…민간·정부 '국가총력전' 당부
윤석열 대통령이 8일 "반도체 경쟁은 산업 전쟁이고 국가 총력전"이라며 민간의 혁신과 정부의 선도적 전략으로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대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반도체 국가전략회의'를 주재하고 "민관이 원팀으로 머리를 맞대고 이 도전 과제를 헤쳐 나가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는 제17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겸해 열렸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업계 인사와 학계 전문가, 여당 지도부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회의에서 메모리반도체 초격차 유지 전략, 시스템반도체 산업 육성 방안, 소부장과 기술인력 확보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회의가 지난 4월 열린 이차전지 국가전략회의에 이은 두 번째의 주요 첨단산업 전략회의라고 설명했다. 반도체 산업은 우리 수출의 약 20%, 제조업 설비투자의 55%를 담당하는 명실상부한 국가 기간산업이지만 최근 글로벌 반도체 산업을 둘러싼 지각변동으로 과제들이 산적한 상황이라는 것이 대통령실 측의 진단이다. 윤 대통령도 이에 대해 "지난 4월에도 반도체와 이차전지라는 두 개의 전선에서 치열한 세계적 산업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했다"고 짚은 뒤 "정말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전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뿐만 아니라 군사 분야에 AI(인공지능)가 접목되면서 반도체가 그야말로 안보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스마트폰·자동차·가전제품은 물론이고 인공위성·전략무기 체계도 탑재된 반도체의 성능에 좌우되고, AI와 양자 컴퓨팅, 바이오 같은 첨단 기술을 구현하는 것도 모두 반도체"라고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첨단산업 경쟁력은 우리 경제를 지키는 버팀목이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의 근원"이라며 반도체 국가 전략의 필요성을 재차 언급했다. 한국의 주력 품목인 메모리 반도체의 초격차를 유지하는 방안, 시스템 반도체 육성 전략, 소부장(소재·부품·장비)과 기술 인력 확보 방안 등에 대한 토론이 이날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반도체 전쟁에서 승리하려면 민간의 혁신과 정부의 선도적 전략이 동시에 필요하다"며 "기업 투자, 유능한 인재들이 다 모이도록 정부가 제도 설계를 잘하고 인프라를 잘 만들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외에도 윤 대통령은 "최근 지정학적 이슈가 기업들의 가장 큰 경영 리스크가 되고 있는데, 이것은 기업 혼자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고, 미국을 비롯한 우방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긴밀한 소통을 통해 풀어가야 할 문제"라고 정부 차원의 대응을 시사했다. 대통령실도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이 메모리 반도체 부문에서 20여년간 글로벌 선두를 유지하고 있지만, 경쟁국들의 추격이 거세지고 있다"며 "반도체 시장의 약 60%를 차지하는 시스템 반도체 부문은 오랜 육성 노력에도 아직 산업 기반이 취약한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 정부는 반도체 국가전략회의에서의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기존 반도체 산업 전략을 보완할 예정으로, 정부와 기업의 긴밀한 공조 하에 속도감 있는 지원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제17차 비상경제민생회의 주재하는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17차 비상경제민생회의 겸 반도체 국가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반도체 국가전략회의 주재하는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17차 비상경제민생회의 겸 반도체 국가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