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만에 선보이는 소극장 축제…내적 성장 계기 됐으면"
2009년 대구소극장협회가 시작해 2016년까지 이어진 '소극장있다페스티벌'이 '2024 대구소극장페스티벌'(11~30일)로 다시 관객과 만난다. 창작공간 기차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 초부터 대구소극장협회장을 맡게 된 이나경 극단 기차 대표가 협회 소속 소극장과 함께 의욕적으로 축제를 준비했다.최근 대구 남구 대명공연거리에서 만난 이나경 대구소극장협회장은 대구소극장페스티벌에 대해 "8년 만에 이뤄지는 페스티벌이자, 과거 '소극장있다페스티벌'에서 이어지는 페스티벌"이라고 설명했다. 이 협회장은 "개인적으로는 연극계 선배들과 후배들을 잇는 중간 역할을 해야 하다 보니 협회장을 맡아 축제를 준비하며 부담감과 책임감을 모두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대구소극장협회가 이번 축제를 하게 된 건 위기감 때문이다. 올해 축제의 키워드는 '공간이 살아야 예술이 산다'와 '자생'이다. 이전에는 지원금을 받아 축제를 열기도 했지만, 올해는 지원 없이 각 극장이 십시일반 힘을 모아 축제를 준비했다."팬데믹 이후 처음 소극장협회 총회를 했는데, 다 같이 보는 게 너무 좋았고 다들 허심탄회하게 이야기를 했어요. 우리가 다 같이 힘을 모을 때라는 의견이 모였죠. 대구의 경우, 소극장축제가 맥이 다소 끊겼어요. 다른 지역에서 소극장페스티벌이 꾸준히 이어지는 것을 생각하면, 사실 좀 부끄러운 일이에요. 소극장이 살아야 예술가들도 살고, 또 예술가를 꿈꾸는 이들의 활동도 활발해진다고 생각했어요."올해는 우선 각 소극장의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무대에 올린다. 축제에는 아트플러스씨어터, 한울림 소극장, 소극장 우전, 창작공간 기차, 소금창고, 아트벙커, 예술극장 온, 예전아트홀, 예술극장 엑터스토리, 소극장 길 등 대구의 10개 소극장이 참여한다. 협회 소속 14개 소극장 중 일정 확보가 어려운 곳을 제외하면 모두 참여하는 것이다.이번 축제를 계기로 소극장들이 내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게 이 협회장의 바람이다. 협회는 앞으로 우수 콘텐츠 개발에 주력하고, 소극장페스티벌을 연극 외에 무용, 음악 등 다른 장르 공연도 볼 수 있는 페스티벌로 만들 예정이다. 또 공유 페스티벌을 열어 젊은 지역 예술인들이 꿈을 실현하는 공간으로 소극장을 제공할 예정이다."(소극장 활성화가) 단기간에 이뤄지지는 않겠죠. 배우가 무대에 서는 데도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처럼 저의 협회장 임기 3년 동안에 뭔가 이루겠다는 건 어설픈 이야기 같고요. 우리 스스로 점검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관한 연구를 해봐야 할 것 같아요. 그러다 보면 관객들도 찾아오고, 많은 젊은 연극인들도 소극장을 더 사랑하지 않을까 싶어요."최미애기자 miaechoi21@yeongnam.com이나경 대구소극장협회장.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