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검찰총장·공정위원장 임명안 재가…與 "결격사유 없어" 野 "검찰공화국 완성"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이원석 검찰총장·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임명안을 재가했다. 현 정부에서 국회 청문보고서 채택없이 임명된 12번째 사례로 야당은 "검찰공화국 완성"이라며 비판을 이어나갔다. 대통령실은 이날 9시12분 언론공지를 통해 "윤 대통령은 조금 전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과 이원석 검찰총장에 대한 임명을 재가했다"고 밝혔다. 앞서 윤 대통령도 출근길 문답에 '순방에 앞서 검찰총장과 공정거래위원장을 임명하나'라는 취재진 질문에 "오늘 임명장을 수여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정부 구성이 많이 늦어져서 그런 지적도 있고, 인사청문 과정에서 국민들께서 이 분들의 자질과 역량에 대해 이미 판단했을 걸로 생각하다"고 임명 이유를 밝혔다. 이 총장과 한 위원장에 대한 임명장 수여식은 이날 오전 10시30분에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됐다. 통상 임명 재가와 임명장 수여식에 시간적 간격이 이뤄졌지만 신속한 절차를 밟은 것이다. 이는 윤 대통령이 오는 18∼24일 영국·캐나다·미국 순방을 앞두고 조속한 임명 절차를 밟아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앞서 이 총장·한 위원장에 대한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재송부 시한을 14∼15일 이틀간 짧게 설정하기도 했다. 법률상 열흘 내 임의로 시한을 정해 재송부를 요청할 수 있는데, 순방 이전 임명을 염두에 둔 통보였다. 윤 대통령은 한 위원장에게 임명장을 전달한 뒤 "어려움이 많으신데 고맙다"고 말했다. 이어 이 총장에게도 임명장을 주며 "고맙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기념촬영을 마친 뒤 이 총장·한 위원장과 비공개 환담을 했다. 청문보고서 채택없이 임명을 강행한 것은 윤석열 정부 들어 이번에 12번째다. 앞서 박진 외교·이상민 행정안전·박보균 문화체육관광·한동훈 법무·김현숙 여성가족·박순애 교육부 장관과 김창기 국세청장, 김승겸 합참의장, 김주현 금융위원장, 윤희근 경찰청장 등 11명이 청문보고서 채택 없이 임명됐다. 이 가운데 박순애 전 장관, 김창기 청장, 김승겸 의장, 김주현 위원장 등 4명은 아예 청문회도 거치지 않고 임명됐다. 이번 임명에 대한 여야의 반응은 크게 엇갈렸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임명 강행에 대해 "윤석열 정부의 '새로운 국민의 나라'에 국민은 없고, 검찰과 재벌만 있나"라고 비판한 반면 여당인 국민의힘은 오히려 민주당이 국정 발목잡기에 나섰다고 지적한 것이다. 민주당 이수진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끝없는 인사 참사에도 한치의 반성도 없이 불통 폭주를 이어가겠다는 선언"이라며 "이원석 후보자는 대통령, 법무부장관, 검찰총장을 하나의 직통라인으로 만들려는 윤 대통령의 마지막 퍼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오늘의 임명강행은 검찰공화국을 완성하고, 재벌 대기업 위주의 시장 질서를 강화하겠다는 윤 대통령의 아집"이라고 깎아내렸다. 반면 국민의힘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심각한 결격사유가 없음에도 청문보고서를 채택하지 않는 것은 국정 발목잡기에 불과하다"면서 "국정 공백이 장기화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이다. 야당은 불필요한 정쟁을 앞세워 국민을 피로하게 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임명장 받은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오른쪽 세번째)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원석 검찰총장과 악수하는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이원석 검찰총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