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K코인사기사건, 철저히 수사하라"…대구서 열린 국감서 관련 집회도 잇따라
17일 대구지·고검, 대구지·고법, 경북대·경북대병원, 대구시교육청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가 대구에서 열리자, 연관된 집회도 잇따랐다.KOK코인 피해자들은 이날 오전 10시 국감이 열리는 수성구 범어동 대구지검 앞에서 집회를 갖고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이들은 "KOK 코인은 전형적인 다단계 금융사기 사건으로, 피해자가 무려 90여만 명, 피해액은 4조원 이상 달한다"며 "하지만 KOK 핵심 공범들은 고소된 지 2년이 지났음에도 기소된 자가 없다. 이들이 빼돌린 범죄수익도 수조 원대지만 KOK 모집책들에 대한 수사도 미진하다"고 주장했다.이어 "대규모 사기 사건인 만큼 전국통합수사본부를 설치하고, 모집책 수사 및 해외 도피 공범에 대한 송환 조사, 범죄수익 추적 및 환수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의대 증원 정책을 비판하는 학생·학부모·교수들의 집회도 열렸다. 경북대·강원대 의대비상대책위원회와 강원대병원 교수비대위, 학생비대위, 학부모비대위는 이날 대구 중구 동인동 경북대 의대 앞에 모여 "의료 개혁이라는 미명으로 시행된 의대 증원 정책으로 선배 세대가 이룬 세계에서 인정받던 한국 의료는 끝났다"며 윤석열 정권은 의료 개혁이라는 구호로 국민의 기본권을 유린하면서 대한민국 의료를 붕괴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이어 "국감을 통해 교육부의 반헌법적인 불법 행위를 낱낱이 밝혀 하루라도 빨리 의대 증원 정책이 취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군위 작은 학교 살리기 공동대책위원회도 대구 북구 산격동 경북대 글로벌프라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군위 작은 학교 없애기 중단 및 지원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이들은 "지난 7일 대구시교육청은 지역 사회와 양육자들의 반대에도 군위 일방향 통학구역 조정을 확정하면서 농촌 작은 학교를 계속 다니고 싶은 양육자들과 학생들의 목소리를 외면했다"며 "장거리 통학, 원치 않는 전학으로 인한 학교 적응과 부작용 등의 문제점이 우려된다. 군위는 한부모·조손가정 등 가정 형태가 다양하고 심리적·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이 많은 만큼 이들의 보듬어 줄 정책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글·사진=권혁준기자 hyeokjun@yeongnam.com17일 오전 국정감사가 열리는 대구 수성구 범어동 대구지검 앞에서 KOK 피해자비상대책위원회가 검찰에 대한 철저한 국정감사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