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실증 허브로 도약하는 영주와 구미
국토교통부의 '드론특별자유화구역 3차 지정' 공모에 경북 영주와 구미시가 선정된 가운데, 이들 지역이 드론 산업화를 위해 두팔을 걷어붙였다. 영주시는 이번 기회를 통해 단순한 드론 기술 테스트를 넘어서, 드론 기반 지역 서비스 산업화와 고용 창출 등 파급 효과까지 이어가겠다는 구상이다. 이번에 드론자유화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은 △안정면 일원리(1.17㎢), △창진동(0.33㎢), △평은면 금광리(2.72㎢), △봉현면 노좌리(1.66㎢) 등 총 5.88㎢ 규모다. 해당 지역에선 8월부터 2027년 6월까지 드론 실증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주요 실증 내용은 드론 배송, 산불 초기 대응, 농업용 방제, 장기 체공 관제 등 실생활 밀착형 서비스가 다수 포함됐다. 지난해부터 드론산업 육성에 주력해온 영주시는, 드론작전사령부, 정보통신기술협회 등과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등 인프라 확장에 나서왔다. 특히 올해 초에는 '드론실증도시 구축사업'에도 선정되면서 드론 배송 실험도 9월부터 병행 추진될 예정이다. 영주시는 지역 맞춤형 실증을 통해 드론이 시민 생활과 산업 현장에서 직접 쓰일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다. 2023년 드론특별자유화구역 2차 지정(2023~2025년)에 이어 3차도 재지정된 구미시는 이미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 드론을 구미국가산단 1~5단지에 입주한 전자·IT·국방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미래 먹거리로 적극 활용 중이다. 구미시의 드론특별자유화구역은 낙동강 구미보~중앙고속도로 군위JC까지 선산·산동읍, 장천·장천면 일대다. 구미시는 제2차 지정 1년차에 실증 인프라 구축(경운대), 수직 이착륙 드론을 활용한 광범위 산불감시, 드론 물품 배송 서비스, 낙동강 수질관리 채수비행, 운전 중 졸음·주시태만·난폭운전 검출 기술 검증사업을 추진했다. 2년차에는 드론 배송 배송거점 2개소, 배달점 6개소를 조성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드론 과제 시스템 구축, 기업체(LIG넥스원)와 대학(구미대)의 드론 싫증훈련 인프라 구축에 주력했다. 제3차 기간에는 지역특화 드론 부품산업 육성, 지역 기업·대학·연구기관 혁신 인프라 조성으로 구미형 공공수요 국산화 드론 플랫폼 확보 등을 추진한다. 또 드론 활용 대드론 통합방호체계 구축, 드론 기술 개발과 항공산업 적용 상용화에 나선다. 백종현·손병현기자 baekjh@yeongn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