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수 "AI 저작권 해결 시급"…저작권법 개정 위한 간담회 열려
인공지능(AI) 확산으로 대두된 '저작권' 문제에 대해 정치권과 각계 전문가들이 법 개정 논의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국민의힘 김승수(대구 북구을) 의원은 10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같은 내용의 '국민의힘 AI 3대 강국 도약 특별위원회 콘텐츠 분야 소위원회 제3차 간담회'를 열었다. 특위는 지난달 10일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 데 이어 세번째 간담회를 여는 등 지속해서 AI 관련 법적 문제들을 논의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주최자인 김승수 콘텐츠 분야 소위원장을 비롯해, 안철수 위원장, 고동진 인프라 분야 소위원장, 콘텐츠 분야 소위원회 소속인 최보윤 의원, 김장겸 의원, 서천호 의원 등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개회사에서 "지금 현황에 대해 정부 부처의 설명을 듣고 업계의 긴급한 요구 사항 등을 수렴해서 필요한 입법·정책적인 지원을 하기 위해 간담회 자리를 마련했다"며 "논의의 핵심은 AI에 사용되는 테스트나 데이터에 대해 면책 규정을 적용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어디까지 적용할 것이냐이며, 오늘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안철수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AI는 질 좋은 데이터를 많이 보유하고 학습시키는 것이 정말로 중요하다"며 "저작권 관련 법안과 정부의 필요사업들은 차근차근 준비해서 정기국회 때 예산 등에 반영 및 통과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고동진 인프라 분야 소위원장은 "AI는 알고리즘과 컴퓨팅 파워, 데이터 세가지가 톱니바퀴처럼 돌아가면서 기술 발전을 주도한다"며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저작권자에게 정당한 보상을 해주는 것은 당연하지만, 콘텐츠 관련 AI 기업과 공공기관, 연구기관이 일을 잘할 수 있고 활발한 R&D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최보윤 의원은 "AI산업에서 저작권 분야는 민감한 부분으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해외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발맞춰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진행된 비공개 간담회에서 문화체육관광부는 저작권법의 개정 논의 경과와 학습데이터 투명성, 면책 규정 도입과 AI 산출물 표시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한국저작권위원회는 저작권 정책 방향의 세부사항에 대하여 발표했고, 한국언론진흥재단은 AI시대 뉴스저작권에 관하여 보고를 했다. 이대희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학계 의견을 전달했고, 기업들을 대표하여 네이버와 KT는 민간 분야에서 느끼는 애로사항과 건의사항을 발표했다. 간담회를 마무리하며 김 의원은 "AI 산업으로 우리 사회를 송두리째 바꿀 변혁이 예상된다"며 "AI 산업 발전을 통해 국민들에게 혜택을 확대시키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의원은 "저작권 관련 문제들이 AI산업 도약을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 중 하나"라며 "다음에는 추가적인 해외동향 파악과 관계 부처 간 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입법 사항들에 대한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김승수 AI 10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실에서 열린 국민의힘 특위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김승수 의원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