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적자 역대 최대…외환 위기와 비교해도 적자 폭 2배
지난해 한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472억 달러로 나타나 역대 최대치라는 오명을 안게 됐다. 연간 무역수지 적자는 미국발 금융위기 영향을 받은 2008년(132억6천만달러 적자) 이후 14년 만에 처음이다. 적자액 규모도 종전 최대치였던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 206억2천만 달러)보다 2배 이상 많았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2년 12월 및 연간 수출입 동향'자료를 보면, 지난해 수출액은 6천839억달러로 전년 대비 6.1% 증가했다. 하지만 글로벌 에너지 위기 탓에 수입액은 전년보다 18.9% 증가한 7천312억달러로 집계됐다.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이 무역수지 적자의 주된 원인이었다. 3대 에너지원인 원유·가스·석탄의 수입액은 1천908억달러에 달한다. 수출 강국의 위상은 공고히했다. 연간 수출액은 6천839억달러로 전년 대비 6.1% 증가하며 사상 최대 수출 실적을 달성했다. 세계 수출 순위도 한 계단 상승한 6위에 올렸다. 일 평균 수출액도 사상 처음으로 25억 달러대에 진입했다. 주요 수출품목 중 반도체(1천292억3천만달러)·석유제품(630억2천만달러)·자동차(541억달러)·이차전지(99억9천만달러) 등은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을 보이며 수출의 버팀목 역할을 톡톡히 했다. 특히 시스템반도체(506억8천만달러)·전기차(98억3천만달러)·유기발광다이오드(OLED·149억달러) 등 신산업 분야 고부가 가치 품목도 최고 수출액을 경신했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 주요 수출품목의 하락세가 본격화됐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연속 수출이 감소했다. K-반도체의 대표 제품인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줄면서 가격이 떨어진 영향이 컸다. 석유화학 제품도 지난해 수출액이 1.5% 줄어들었고 철강도 하반기 들어 수출 증가율이 두 자릿수에서 한 자릿수로 쪼그라들었다. 9월부터는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그나마 대구경북은 호성적을 거뒀다.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에 따르면, 2022년 1~11월 누적 수출액은 대구 96억8천만 달러, 경북 430억4천만 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대구는 2차전지 원료 누적 수출액이 28억4천6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64.7% 성장하며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자동차 부품(11억2천600만 달러), 경작기계(3억9천700만 달러) 등 주요 수출품목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경북의 경우 무선전화기(38억6천500만 달러), 무선통신기기부품(33억5천800만 달러), TV카메라 및 수상기(27억900만 달러) 등이 수출을 주도하고 있다. '대구경북 2022년 수출입 평가 및 2023년 전망' 보고서는 2022년 연간 수출액 예상치는 대구105억 달러, 경북 470억 달러로 각각 산출했다. 대구는 역대 최고치이며 경북은 8년 만에 최대치다. 올해도 대내외 악재 속에서도 대구경북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세계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접어드는 등 부정적 전망이 큰 만큼 공급망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의 중론이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화면 캡처 2023-01-01 16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