쌓여가는 산불 폐기물에 경북 지자체 ‘난감’
지난 3월 초대형 경북산불 이후 대량의 재난 폐기물이 쌓이면서 각 지자체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일주일간 5개 시·군에서 발생한 산불 폐기물이 경북 전체 연간 총폐기물 양보다 많아 처리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어서다. 더욱이 처리 비용도 만만찮아 재정 사정이 좋지 않은 지자체들이 난감한 처지에 빠졌다. 지난달 경북 북동부지역을 휩쓴 산불로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등 5개 시·군에서 총 154만5천t 규모의 재난 폐기물이 발생했다. 이는 지난해 경북 전체 폐기물(96만4천128t) 보다 60.24%(58만872t) 많은 규모다. 2022년 울진산불 당시 발생한 폐기물 양(9만9천235t)과 비교하면 15배가 넘는다. 지역별로는 안동이 48만2천t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영덕(47만3천t), 청송(44만4천t), 의성(11만4천t), 영양(3만t) 순으로 집계됐다. 해당 시·군은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철거에 나섰으나 현재까지 수거된 폐기물은 29일 기준 7만7천여t으로, 전체의 4.9%에 불과하다. 지역별 처리된 물량은 영덕 12%, 의성 10.7%, 안동 1.48%, 청송 0.2%에 그치고 있다. 영양은 아직까지 처리 물량조차 집계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번에 발생한 폐기물의 90.6%(약 140만t)는 주거시설 파손에 따른 건설폐기물이다. 석면이 포함돼 별도 처리가 필요한 슬레이트 등 지정 폐기물은 총 4천743t(안동 1천959t, 영덕 1천152t, 청송 841t, 의성 647t, 영양 144t)으로 집계됐다. 업체가 직접 수거해 재활용이 가능한 건설폐기물과 달리 단독 주택 지붕에서 쓰이는 슬레이트와 유리 파편 등이 섞인 혼합폐기물(12만8천t)은 대부분 매립하기 때문에 처리 비용이 비싸고 작업도 까다로운 편이다. 통상 t당 처리 비용은 슬레이트가 64만5천원, 혼합 폐기물 20만7천원, 건설 폐기물 7만4천원 정도다. 이에 따른 폐기물 처리 비용만 약 1천381억원으로 추산된다. 경북도는 주민불편 해소와 2차오염 방지를 위해 5월까지 전체 물량의 절반을, 늦어도 7월까지는 완전히 철거 및 처리할 계획이다. 하지만 자체 예산만으로는 처리에 한계가 있는 만큼 경북도와 각 시·군은 국비 지원을 긴급 요청한 상태다. 경북도 관계자는 “국비가 아직 내려오지 않아 각 시·군에서 자체 비용을 들여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비 지원이 조속히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오주석·정운홍 기자 farbrother@yeongn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