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조기 대선 승패 가를 변수는?…중도층 민심·개헌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과 동시에 조기 대선 시계가 돌아가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의 새 운명이 불과 60일 만에 결정되는 것이다. 시간은 짧고 변수도 많은 만큼 예측 불가능한 '역대급 대선'이 펼쳐질 전망이다. 우선 이번 대선의 향배는 중도층 민심이 가를 전망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신뢰수준 95%, 표본오차 ±3.1%p.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에 따르면, 중도층의 62%가 '정권 교체'를 원한다고 응답했다. '정권 연장'을 원하는 응답은 28%에 그쳤다. 여론 흐름만 놓고 보면 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 유리해 보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같은 조사에서 이 대표에 대한 중도층 지지율은 38%에 불과했다. 중도 유권자 10명 중 4명만이 지지한 것이다. '국민의힘이 싫지만 이재명도 그리 썩 좋지 않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이 대표는 '중도층 포용'이란 과제를 안게 됐다. 국민의힘의 경우 '극우 이미지 탈피'가 급선무가 됐다. 이를 위해 '비윤(비윤석열)계' 인사 중심의 경선 전략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와 반대로 오세훈·한동훈·유승민·안철수 등 탄핵에 찬성한 이들을 배신자로 규정하고 철저히 배제해야 한다는 당내 강성 지지층의 요구 역시 커지고 있다. 특히 극우 지지층을 중심으로 '윤 어게인'이란 구호가 널리 회자되는 점도 주목된다. 윤 전 대통령의 재출마를 포함해 윤 전 대통령의 정치적 유산을 이어받을 수 있는 이가 보수 정당의 대선 후보가 돼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향후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에서 극우 지지층을 중심으로 한 '반윤 또는 비윤 후보' 솎아내기가 현실화된다면 중도층 이탈은 가속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개헌도 중대 변수다.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로 인해 제왕적 대통령제와 승자독식 정치구조의 문제점을 온 국민이 체감한 탓이다. 이에 우원식 국회의장은 6일 조기 대선일에 개헌 국민투표를 같이 하자고 제안했다. 그동안 번번이 무산됐던 개헌을 실현하려면 새 대통령 임기 시작 전 개헌 절차에 착수해야 한다는 취지다. 민주당 김동연, 김부겸, 김경수 등 비명계 대권 주자들이 즉각 찬성 의사를 표한 반면, 이 대표는 7일 “지금은 내란 종식이 먼저"라며 “개헌은 대선이 끝난 후 공약대로 하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선(先) 집권, 후(後) 개헌'을 공식화한 셈이다. 때문에 개헌은 또다시 대선 후로 밀려날 가능성이 커졌다. 친명(친이재명)계 의원들 역시 이 대표와 입장을 같이하며, 개헌을 두고 친명계와 비명계가 분열된 듯한 인상마저 준다. 문제는 '87년 체제' 종식이 시대의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개헌에 대한 이 대표의 입장을 민심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다. 무엇보다 국민들은 제6공화국 출범 이후 지난 여섯 번의 대선마다 주요 후보 대부분이 개헌을 공약했지만, 집권 후 약속을 지킨 후보는 거의 없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여야 입장과 정치지형에 따른 권력구조 개편 문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었다. 현재 대권 가도에 가장 근접한 이 대표의 '선 집권 후 개헌' 입장 표명은 이에 대한 국민 우려를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 특히 이 대표가 당선되면 절대 다수인 거대 야당이 권력을 독점하게 된다. 민주당이 집권 후 대통령 임기 단축 등 '권력 분산과 협치·협력의 제도화'를 골자로 한 개헌에 적극 나설지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이같은 의구심이 커지게 된다면 향후 대선 레이스가 본격 진행되면서 비명계와 보수 주자들에게 역공의 빌미가 될 것이고, 이에 따른 민심 이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