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국회 국조특위 본격 가동…증인 채택에는 여야 이견 보여
12·3 비상계엄 사태의 진상 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가 본격 가동된다. 12일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 운영 일정에 따르면 오는 14일 국방부·합동참모본부·육군본부·방첩사령부·정보사령부·수도방위사령부·특수전사령부·국방부조사본부 등 8개 기관을 대상으로 한 보고가 있을 예정이다. 오는 15일에는 대통령비서실, 기획재정부, 법무부, 행정안전부, 경찰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 10개 기관이 대상이다. 국조특위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경제부총리 등 173명을 기관 증인으로 채택했다.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박종준 대통령경호처장,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등 대통령실 참모들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조태열 외교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 심우정 검찰총장, 오동운 공수처장, 고기동 행안부 차관,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장 등도 포함됐다. 군 관계자 중에선 김선호 국방부 차관 외에도 구속 수감 중인 박안수 육군참모총장(계엄사령관), 곽종근 특전사령관, 문상호 정보사령관, 여인형 방첩사령관 등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구속된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도 포함됐다. 여야는 증인 채택을 두고 맞서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상민 전 행안부 장관의 증인 채택을 추진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 방송인 김어준씨 등을 증인 명단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조특위는 현장 조사와 청문회를 각각 2회, 3회 실시한다. 현장 조사는 오는 21일과 2월 5일 실시되고, 청문회는 오는 22일과 2월 4일, 2월 5일 열린다. 이후 2월 13일 활동 결과보고서를 채택하고 일정을 마무리한다. 국회 운영위원회는 오는 17일 비상계엄 사태 및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저지와 관련해 대통령 경호처를 상대로 '원포인트' 현안 질의를 진행한다. 운영위는 지난 9일 열린 전체회의에서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를 받는 박 대통령경호처장 등 총 11명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경호처 부장급 인사 8명도 추가 증인으로 채택했다. 운영위 전체 회의에 경호처 인사들이 참석할지는 미지수다. 지난 10일 박 처장이 경찰 조사를 받는 등 경호처 인사들이 수사기관에서 수사를 받고 있다는 이유로 불출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는 오는 14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수습 현황 등을 파악하기 위한 현안 질의에 나선다. 국토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고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으로부터 사고 수습 및 유족 지원 방안 등을 보고 받는다. 현안 질의에는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와 박한신 유가족 대표도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권혁준기자 hyeokjun@yeongnam.com내란 국조특위 첫 전체회의 지난달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첫 전체회의에서 안규백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