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쌀값 20만원 수준으로…농업 직불금 2027년 5조원으로"
정부가 올해 쌀값을 20만 원 수준이 되도록 수급 안정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농가 소득·경영 안정을 위해 내년도 농업직불금 예산을 3조 원 이상으로 늘리고, 2027년까지 5조 원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민·당·정 간담회에서 '쌀 수급 안정, 직불제 확대 및 농업·농촌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농식품부는 우선 쌀은 2023년 수확기 쌀값이 20만 원/80㎏ 수준(2022년 수확기 산지 쌀값 18만7천268원/80㎏)이 되도록 수급 안정 대책을 추진하고, 쌀값 하락이 우려될 경우 정부는 빠른 시기에 시장격리 등 수확기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이를 위해 전략 작물직불제(논콩, 가루 쌀 등 16천㏊), 농지은행 사업, 지자체 자율감축 등 벼 재배면적을 감축해 적정 생산을 유도한다. 특히 일반벼처럼 재배할 수 있는 가루 쌀 생산을 대폭 확대(2023년 2천㏊ → 2024년 1만㏊ 이상)해 과잉 생산 우려가 있는 밥쌀 생산을 줄여나갈 예정이다. 쌀 소비 확대를 위해선 가루 쌀을 활용한 식품 개발 등 쌀 가공산업을 육성하고, '대학생 천원의 아침밥' 사업도 대폭 확대한다.이와 함께 내년도 농업직불금 예산을 3조 원 이상 늘리고, 2027년까지 5조 원 수준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공익형 직불은 중소농 중심으로 소득 보전 효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개편한다. 또 농가별·품목별 실제 수입·매출이 일정 수준 이상 변동하는 경우 이를 완화해주는 경영안정 프로그램도 도입한다. 고령농의 은퇴 후 소득을 보장하면서 청년에게 농지를 이양하기 위한 경영이양직불제는 올해 안에 개편안을 마련해 내년부터 시행하고, 농업 분야의 탄소 저감을 뒷받침하는 탄소 중립직불제 시범사업도 내년부터 착수할 계획이다.농식품부는 "이번 농업 직불제 확대·개편 방향은 농가 경영안정을 강화하고 농업의 지속가능성 제고와 미래산업으로의 도약을 뒷받침하는데 중점을 뒀다"며 "향후 직불제별 시범사업 등을 거쳐 세부 추진계획을 구체화하고 재정 당국과 협의를 거쳐 농업 직불제 관련 예산을 내년에는 3조 원 이상, 2027년까지 5조 원 수준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농림축산식품부 제공.